구글 애드센스 정책과 수익방식 변화! 어떻게 대응할까?(24년 초 변경 예정)

구글 애드센스는 블로그나 유튜브에 광고를 게재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2024년 초에 애드센스의 정책과 수익방식이 변경될 예정이에요. 아직 변경까지는 시간은 있지만 빠르게 대응이 필요합니다. 어떤 내용인지 확인해보시죠!

애드센스 정책 변화 CPC CPM


1. 수익배분의 구조 변경

기존에는 광고주 → 구글 애즈 → 구글 애드센스 → 게시자 순으로 수익을 가져가는 형식이었다면 구글 애즈가 제 3의 광고주로 변경됩니다. 이에 따라 15%의 고정 수익이 천차만별로 바뀔 수 있게 됩니다. 구글 정책으로는 게시자(블로그 주인)이 1달러의 광고를 68센트를 가져가는 구조가 높거나 낮아질수 있는 것입니다. 

수익구조 변경

2. CPC → CPM으로 변경

CPC(Cost Per Click)으로 애드센스의 수익이 거의 결정되었습니다. 즉, 사람들이 노출된 광고를 보고 클릭하면 수익이 발생하는 구조였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CPM(Cost per mille)으로 변경됩니다. 요약하면, 클릭당 수익을 얻는 구조에서 노출당 수익을 얻는 구조로 변경된다는 의미입니다. 


변경 대응방안

사실상 블로거는 할 수 있는 것이 없습니다. 유일한 대응 방법은 양질의 글을 쓰면서 고객이 궁금한 것을 긁어주는 것이 답일 수 있습니다. 항상 그랫듯이 SEO 최적화를 통해 노출을 할 수 있게 최대한 노력을 해야합니다. CPM으로 바뀜에 따라 오래 머무는 것도 상당히 중요해졌습니다. 이슈글 보다는 정보를 주는 글을 쓰는 것이 좀더 좋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 


마치며

항상 모든 것은 변화하게 되어 있습니다. 블로그에서 변치 않는 원칙 좋은 글이라면 흔들리지 않고 꾸준히 수익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런 정책을 유연하게 대처하면 애드센스의 수익을 계속 이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 항상 화이팅입니다!


원문글

Updates to how publishers monetize with AdS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