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부터는 기존 DSR보다 더 대출규제가 심해질 예정인데요. 스트레스 DSR이 어떤 내용인지 알아보시고 같이 대비하시죠!

스트레스 DSR이란?
스트레스 DSR은 금융위원회가 24년 2월 시행한 새로운 대출 규제입니다. 이는 가계의 부채 부담을 줄이고 금융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습니다. 기존 DSR(Debt Service Ratio)에 금리 상승 등 스트레스 상황을 고려하여 더욱 엄격하게 대출 한도를 산출하는 방식입니다.
DSR vs 스트레스 DSR
DSR과 스트레스 DSR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DSR | 스트레스 DSR |
---|---|---|
계산 방식 | 월 부채 상환액 / 월 가처분 소득 | 월 부채 상환액 / (월 가처분 소득 x (1 – 스트레스 요인)) |
반영 요소 | 금리 상승 등 스트레스 요소 반영 X | 금리 상승, 소득 변동 가능성 등 스트레스 요소 반영 O |
목적 | 가계 부채 부담 측정 | 가계 부채 상환 능력 엄격 평가 |
적용 대상 | 모든 대출 | 변동금리 대출 위주 |
대출 한도 | 상대적으로 높음 | 상대적으로 낮음 |
그래서 대출이 어려워짐?
– 기존 DSR보다 엄격한 기준: 스트레스 DSR은 기존 DSR에 금리 상승 등 스트레스 요소를 반영하여 더욱 엄격하게 대출 한도를 산출합니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대출 가능했던 가계도 스트레스 DSR 적용 후에는 대출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변동금리 대출 위주 적용: 스트레스 DSR은 주택담보대출(주담대)과 같이 변동금리 적용 대출에 주로 영향을 미칩니다. 고정금리 대출은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습니다.
– 가계의 부채 부담 완화: 스트레스 DSR은 가계의 과도한 부채 축적을 막고 금융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습니다.
대출 한도가 단계별로 점점 줄어듬
현재 정부가 발표한 스트레스 DSR은 단계별로 금리에 따라 대출한도가 줄어드는 데요.
1단계 : 기본 대출금리에 더해지는 스트레스 금리 1.5%의 25%인 0.38%가 더 해짐(2024.2월, 은행권 주담대 적용)
2단계 : 스트레스 금리 50% 적용(2024.7월, 은행권 신용대출 2금융권 주담대 적용)
3단계 : 스트레스 금리 100%인 적용(2025년, 모든 가계 대출 적용)
예를 들어, 대출금리가 5%이면 1단계에는 5%+0.38% = 5.38%, 2단계에서는 5%+0.75%= 5.75%, 3단계는 5%+1.5% = 6.5%5가 되는 것입니다.
마치며
대출에 대한 규제가 점점 타이트해지면서 힘들어지는 데요. 레버리지에 대한 비율을 적절히 조절을 해야겠습니다.